지원사업 |
---|
1. 2024년 경북 그린바이오산업 연구기관 연계형 R&D 청년일자리 지원사업(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사업) 상세보기 |
2. 2024년 농업식품 바이오 로컬벤처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패키지 지원사업 상세보기 |
3. 2024년 농식품 바이오 우수기업 패키지 지원사업 상세보기 |
4. 바이오인력양성사업 상세보기 |
5. 안동기업부설연구소R&D레벨업사업 상세보기 |
6. 산업혁신기술지원플랫폼구축사업 상세보기 |
7. GMP 장비운영 교육 상세보기 |
8.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업 상세보기 |
9. 헴프산업 활성화 지원사업 상세보기 |
10.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(임시허가 안착화 지원) 사업 상세보기 |
2024년 경북 그린바이오산업 연구기관 연계형 R&D 청년일자리 지원사업(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사업) [성장지원팀 850-6813]
추진목적
- 경북지역 그린바이오 산업 중심[농·식품, HEMP] 연구인력 지원 소외 기업과 지역 배출 청년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하여 지역 연구기관 주도 R&D청년 일자리 창출지원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
사업기간
- 2024.01.01. ~ 2024.12.31.(12개월)
사 업 비
- (1기) 2.55억원(행정안전부 0.85억원, 경상북도 1.7억원) / (2기) 3억원(행정안전부 1억원, 경상북도 2억원)
주 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시제품 제작 및 제품 고급화 R&D 교육
- R&BD 플랫폼(공유랩, 공유오피스) 지원
- 연구개발 자문, 기술닥터 컨설팅 및 참여기관 네트워킹
2024년 농업식품 바이오 로컬벤처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패키지 지원사업 [성장지원팀 850-6803]
추진목적
- 경북 북부권 소재 연구기관을 활용한 인력양성,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한 기업역량 강화 및 신규 일자리 창출
사업기간
- 2024.01.01. ~ 2024.12.31.(12개월)
사 업 비
- 4.9억원, 0.6억원
주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산연 연계형 신제품 개발 및 제품고급화 지원
- 농식품 바이오기업 R&D 역량 강화 교육
- 지역인재 업무능력 향상 지원
2024년 농식품 바이오 우수기업 패키지 지원사업 [성장지원팀 850-6803]
추진목적
- 경북 북부권 지역기반 그린바이오 로컬벤처 기업 중심 성장지원으로 R&D 정책 효과성 제고
- 북부권 소재의 연구기관을 활용한 전주기적 기업지원을 통하여 종합적인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유도
사업기간
- 2024.03.08. ~ 2024.12.31.(12개월)
사 업 비
- 2억원(경상북도)
주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판로개척 : 국내외 전시회 참가, 국내외 인증검사비 지원
- 마케팅 지원 : 온라인, SNS 홍보비 지원
- 미디어컨텐츠 제작지원 : 디자인 제작, 홍보영상 제작, TV송출 등
바이오인력양성사업 [성장지원팀 850-6812]
추진목적
- 바이오분야 산업계 현장수요에 부합하는 전문인력 양성
사업기간
- 2024.01.01. ~ 2024.12.31.(12개월)
총사업비
- 1.58억원(산업통상자원부)
주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GMP의 제조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한 교육
- GMP 백신(세포배양, 바이러스 감염 및 역가 측정, 바이러스 분리정제)
안동기업부설연구소R&D레벨업사업 [성장지원팀 054-850-6802]
추진목적
- 지역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성장 및 기술혁신을 위해 R&D 우수기관(대학․연구소 등)의 연구성과 및 노하우를 활용하는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R&D역량을 강화하는 등의 공공지원
사업기간
- 2024. 4. 1. ~ 2024. 12. 31.(9개월)
총사업비
- 8천만원(안동시)
주관기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산학연 네트워킹 강화 : 산학연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기업부설연구소, 전담부서 운영기업과 인증준비 기업 간에 소통
- 산학연 공동 R&D 지원 : 지역 내 기업부설연구소 중심의 공동 R&D 지원
- 공동연구성과 사업화 지원 : 기업이 보유한 연구성과(특허, 정부과제)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 및 신사업 진출 촉진을 위한 R&D연계 후속 신속지원
산업혁신기술지원플랫폼구축사업 [성장지원팀 054-850-6802]
추진목적
- 바이오산업의 R&D 효율성을 제고하고, 산업현장의 실제적 요구가 제품 기획, 개발부터 출시 마지막 단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기업지원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여 지원
사업기간
- 2024. 1. 1. ~ 2024. 12. 31.
총사업비
- 1.06억원(산업통상자원부 0.65, 자부담 0.41)
수행기관
- 대표/운영/참여: 인천TP/포항TP/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부가가치 제품 개발 (생산공정 표준화, 제형화)
- 식품위생검사: 식품 등을 제조 가공하는 기업을 대상으로한 제조가공 기준 및 규격에 맞는 검사 실시 (식품위생법 제 31조)
- 지역기업을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제품고급화 추진: 시제품 제작지원 서비스, 제품 기능성 분석 및 제품고급화 지원
GMP 장비운영 교육 [성장지원팀 054-850-6812]
추진목적
- 바이오분야 산업계의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형 전문인력을 지·산·학·연 콜라보를 통해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지원으로 양성, 기업지원 강화
사업기간
- 2024. 1. 1. ~ 2024. 12. 31.(수시 공모)
주관기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GMP 장비시설 운영 교육
- 원료생산 : 발효, 동결건조, 정제장비 운영
- 분말형 제품생산 : 제형화/포장, 과립장비 운영
- 액상 제품생산 : 추출, 농축, 혼합, 포장장비 운영 등
- 식품위생법, 품목제조 관련 인허가, 식품표기사항 등
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업 [성장지원팀 054-850-6816]
추진목적
- 「메이커 문화 확산을 통한 글로컬(Glocal) 경북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」을 목표로 단계별 세부 프로그램 운영
사업기간
- 상시운영
주관기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BIO Open Lab 운영
- 경북 BIO 체험스쿨 운영
- 경북북부권 청소년 Good Biz(좋아) 창업 아카데미 운영
- MVP(Mininum Viable Product) 제작실습, 홍보ㆍ마케팅 교육
헴프산업 활성화 지원사업[헴프사업화팀 054-850-6913]
추진목적
- 「경북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」임시허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헴프 재배 및 CBD 제조·수출, 안전관리의 헴프 기반 바이오산업의 기반 구축 지원
사업기간
- 2025. 2. 1.~2025. 12. 31.(11개월)
- 25년도 사업기간: 2025. 2. 1. ~ 2025. 12. 31.(11개월)
총사업비
- 15.81억원(도 4.74, 시 11.06)
- 25년도 사업비: 15.81억원(도 4.74, 시 11.06)
주관기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(총괄관리) 「경북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」임시허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헴프기반 바이오산업 토대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기업지원
- (산업용 헴프 재배) 원료의약품 생산을 위한 원료 재배 및 재배시설(GACP)고도화에 따른 국제공인시험(KOLAS)기관 역량 강화
- (원료의약품 제조·수출) 제조·추출 장비의 안정적인 운영 및 기술 신뢰성 확보
- (산업용 헴프 관리) 전주기이력관리를 통한 헴프의 안전관리 및 국제 규제기준을 준수하는 관리 체계 구축
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(임시허가 안착화 지원) 사업[헴프사업화팀 054-850-6913]
추진목적
- 고안전, 고정밀 헴프 기반 바이오산업 토대를 위한 안전 및 사후관리 기업지원 시스템 구축
- 임시허가 기간 효과적인 실증 추진을 위한 특구사업자 지원 체계 및 헴프 산업화 기반 구축
사업기간
- 2025. 1. 1.~2026. 12. 31.(24개월)
- 1차년도 사업기간: 2025. 1. 1. ~ 2025. 12. 31.(12개월)
- 2차년도 사업기간: 2026. 1. 1. ~ 2026. 12. 31.(12개월)
총사업비
- 1.26억원(국비 0.88, 지방비 0.38)
- 1차년도 사업비: 0.63억원(국비 0.44, 지방비 0.19)
- 2차년도 사업비: 0.63억원(국비 0.44, 지방비 0.19)
주관기관
-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
사업내용
- 규제자유특구 운영 및 사후관리
- 안전한 사업 추진을 위한 책임보험료 및 이용자 고지 지원
- 특구기업지원, 규제개선 및 홍보, 사후관리등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 구축·운영
- 특구 운영 효율성 확보를 위한 성과조사 시스템 구축